top of page

미 의원 주식 거래, 국민 신뢰 훼손 논란…재무장관 “즉각 금지해야”

2025.09.15 박재한 기자

Image-empty-state_edited_edited.jpg

미국 연방의원들의 주식 투자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최근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연방의원들이 개별 주식을 거래하는 행위를 금지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를 어길 경우 증권거래위원회(SEC)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베센트 장관은 논란의 중심에 있는 인물로 민주당 소속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캘리포니아)과 론 와이든 상원의원(오리건)을 구체적으로 거론했다. 펠로시 전 의장과 벤처 캐피털리스트 남편은 총 2억6천3백만 달러(약 3600억 원) 상당의 주식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몇 달간 거래로만 600만 달러(약 8억2천만 원) 이상의 이익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난해 11월 AI 열풍이 본격화되기 직전 엔비디아 콜옵션을 매수해 약 1억8천만 원 상당의 수익을 냈고 2022년 대규모 반도체 지원 정책 발표 직전에도 엔비디아 콜옵션으로 1억3천만 원을 벌었다.

와이든 의원의 경우 약 180만 달러(약 27억3천만 원) 규모의 주식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한 달 동안 포트폴리오 가치가 123% 상승하며 83만 달러(약 1억1천만 원) 상당의 수익을 올렸다. 베센트 장관은 “이들의 수익률은 헤지펀드도 부러워할 만한 수준”이라며 “정치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훼손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치인들은 워싱턴에 부자가 되기 위해 온 것이 아니라 미국 국민을 위해 봉사하기 위해 왔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언은 미국 의회의 주식 거래 금지 법안 추진과 맞물리며 의회 내 투기 논란과 공직자 윤리 문제를 다시 한 번 부각시키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베센트 장관의 발언은 양당 의원들의 공감대를 얻고 있으며 입법화 논의에 힘을 실어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움직임은 한국 정치권에서도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이춘석 무소속 의원의 ‘주식 차입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미국 사례를 참고해 정치인 주식 거래에 대한 규제 필요성을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정치인과 공직자의 금융 거래가 투명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국민 신뢰 훼손과 정책 결정 공정성 논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공란

Essential Waves_edited.jpg

포스트를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한인 미디어를 살립니다

토론토 코리안 포스트

제보 문의 : slvpeiin@gmail.com | ​발행인/편집인 : 박재한

Copyright © 토론토 포스트. All rights 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