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다시 불붙는 미-캐 무역갈등…트럼프 “즉시 협상 종료

2025.06.28 박재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의 디지털세 도입에 반발해 양국 간 무역협상을 즉각 중단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캐나다와의 모든 무역 논의를 즉시 종료한다”며 “향후 7일 이내에 미국과의 거래에 대해 캐나다가 부담해야 할 관세를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양국이 오는 7월 중순을 목표로 무역합의를 도출하려 하던 중 나왔다. 특히 캐나다가 도입한 3%의 디지털서비스세가 결정적인 갈등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세금은 아마존, 구글, 애플 등 미국 빅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캐나다 정부는 지난해 해당 법안을 제정했고 오는 월요일부터 실제 과세가 시작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디지털세를 “악질적 과세 행위”라고 비판하며 협상을 더 이상 이어갈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앞서 유럽연합을 상대로도 유사한 방식으로 관세 위협을 통해 협상력을 높이려 한 바 있으며, 이번 조치 역시 협상을 압박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캐나다는 미국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하면서도 협상 지속 의지를 내비쳤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기자들과의 짧은 인터뷰에서 “복잡한 협상은 캐나다 국민의 이익을 위해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캐나다 상공회의소의 캔디스 레잉 회장은 “협상 마감 시한이 다가오면 막판 돌발 변수는 항상 존재한다”며 “최근 몇 달간 분위기가 나아졌기에 진전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번 트럼프의 발언 역시 그간 반복된 ‘기싸움’의 연장선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표가 협상의 문을 완전히 닫은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미 외교협회(CFR)의 이누 말락 연구원은 “이번 발언은 캐나다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카니 총리가 원했던 방식은 아니지만 협상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공간이 생겼다”고 평가했다. 미국은 캐나다의 최대 교역 상대국으로 지난해 양국 간 상품 교역 규모는 4천억 달러를 넘었다. 하지만 올해 초 트럼프 대통령이 국경의 마약 밀수를 이유로 25%의 신규 관세를 부과하면서 양국 관계는 흔들리기 시작했다. 미국은 자동차와 철강, 알루미늄 등 주요 품목에도 추가 관세를 부과했고, 이에 대응해 캐나다도 일부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도입했다.

자동차 부품처럼 국경을 여러 차례 넘나드는 산업의 경우 공급망 혼란이 현실화되면서 양국 기업들의 우려도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부 품목에 대해 예외를 인정했지만, 이번 협상 중단 선언은 또다시 무역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Essential Waves_edited.jpg

포스트를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한인 미디어를 살립니다

토론토 코리안 포스트

제보 문의 : slvpeiin@gmail.com | ​발행인/편집인 : 박재한

Copyright © 토론토 포스트. All rights 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