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캐나다 전역에 불어닥친 구조조정 한파…금융·교육·정부 부문 줄줄이 '인력감축'

2025.07.22 박병욱 기자

[사진 = 관련 이미지]

최근 캐나다 전역에서 대규모 구조조정 움직임이 포착되며, 금융·교육·정부 부문을 중심으로 사회 전반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은행 본사의 직원부터 시작해 대학가, 공립 교육청, 주정부 기관까지 수천 명 규모의 인력 감축이 이뤄지고 있다는 증언이 속출하고 있다. 특히 금융권 관계자들은 “대규모 레이오프가 단행되면서 기존 인력에 업무가 과중되고 있으며, 정리해고 우려 때문에 휴가도 제대로 쓰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 관계자들은 이번 인력 감축이 이민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의 ‘나비효과’라고 분석한다. 한 시민은 “이민자 유입 제한으로 인해 컬리지 등록률이 급감했고, 비자 장사를 기반으로 운영되던 일부 사설 컬리지들은 사실상 붕괴 직전”이라며 “분양시장과 콘도시장도 침체에 빠졌다”고 우려했다.

또한 제조업계 역시 흔들리고 있다. 미국에서 수입되는 원재료 및 부자재에 대한 관세 적용이 본격화되며, 이미 10~15% 가격 인상이 이루어진 상황이다. 업계는 오는 8월부터 본격적인 소비자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예고하고 있다.

한편, 재택근무 폐지 움직임까지 겹치며 노동자들의 불안은 더 커지고 있다. “재택근무가 사라지고, 조직의 분위기도 점점 경직돼가고 있다”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으며, “섣불리 이직했다가 큰 피해를 볼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시민들 사이에서는 “퇴직 예정이었던 고위 직원도 예고 없이 내보내는 상황”, “SME(주제전문가)를 하루아침에 자른 바람에 업무가 마비됐다”는 이야기까지 올라오며 현장의 혼란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현 상황을 '진행 중인 리세션'으로 규정하며, 관세·금리·국제정세 등 복합적 요인이 맞물린 불황 국면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진단하고 있다.

시민들 사이에서는 “존버(버티기)가 답이다”, “이직보다 생존이 우선”이라는 자조 섞인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캐나다 사회 전반에 걸쳐 ‘보이지 않는 한기’가 엄습하고 있다.

공란

Essential Waves_edited.jpg

포스트를 응원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이 한인 미디어를 살립니다

토론토 코리안 포스트

제보 문의 : slvpeiin@gmail.com | ​발행인/편집인 : 박재한

Copyright © 토론토 포스트. All rights served.

bottom of page